  | 
	        xeno      | 
	     
	    
	          | 
	     
	    
	        | 왜 영문명이 Korea가 아니고 Corea 이여야 하는가? | 
	     
	     
	    
	    
	    
	    
	     | 
	
	
	
    	
		참.. 내가 글같은걸 퍼오다니... 
 
 한심한고로.ㅡ.ㅡ;;
 
 할일이 없긴없나벼..ㅡ.ㅡ;;
 
 이하 ↓글은 펀글..ㅋㅋ
 
 
 
 일본은 왜 일본해를 주장하는가?
 
 "이미 일본해란 공칭을 가진 이상 그 해상주권은 우리가 점유한게 아니겠는
 가. 국권상 결코 겸연쩍어할 필요가 없으며 그 해상주권은 먼저 습관상 현
 재 어로를 하고 있는지 유무에 따라 실적을 표명해야 할 것이다. 오늘날 일
 본의 어선을 이 해상에서 종횡무진케하고 어업에 힘써 이익을 챙기는 것을 
 습관화하려고 그 실적을 천하공중에 인식시켜야 한다. 만약 그렇지 않으면 
 훗날 이 해상의 주권과 관련해 다른 나라와 논쟁을 벌였을때 실적을 표명하
 는 논거가 약해지므로 국권상 불리하게 되는 경우도 예상할 수 있다. 이들 
 또한 깊이 우려하지 않으면 안된다." (일본수산잡지,세키자와,일본의 어업
 은 어떠한가, 1893년)
 
  
 
  일본해 명칭이 왜 문제되는가?
 
  
 
 1) 19세기 후반까지 외국의 자료는 물론 심지어 일본의 자료조차 '조선
 해'로 통용되어왔다. 역사적으로 통용되어온 한반도 동쪽바다의 명칭이 바
 로잡혀야 한다. 
 
 2) 일본해 명칭이 존속할 경우, 한국의 영해는 물론이고 한국의 이익이 국
 제적으로 인정되는 대륙붕, 배타적 경제수역이 Sea of Japan으로 불린다. 
 
 3) 1998년을 '세계 해양의 해'로 UN이 지정할 정도로, 21세기는 해양이 갖
 는 의미가 대단히 크다. 하지만, 동쪽바다가 일본해로 표기됨으로 국제 관
 계등에 부수적인 문제가 필연적으로 제기된다.
 
  
 
  왜 동해가 아니고 조선해여야 하는가?
 
  
 
 1) 2000년 6월 발효된 중일어업협정에서, 흔히 동중국해로 알려진 명칭에 
 대해 '동해(Tung Hai)'라는 명칭을 단독 표기해 논란이 발생하였었다. 동중
 국해에 대해서 해양명칭을 관장하는 국제수로기구(IHO)의 간행물은 동중국
 해를 `EAST CHINA SEA(TUNG HAI)'로 기록하고 있다. 즉, '동해'라는 명칭
 은 '방위개념'으로, 다른 나라의 동쪽에 위치한 바다의 명칭과 혼란을 일으
 킬 수 있다.  
 
 2) 동쪽바다 명칭에 대해 현재 정부는 'East Sea/Sea of Japan'으로 혼용표
 기를 주장하고 있다. 역사적으로 이 명칭은 ' Mer de Coree, Sea of 
 Coree, Chosun Sea, Sea of Corea, 朝鮮海 '로 표기되어 왔다. 역사적인 명
 칭을 되찾아야 한다. 왜? 역사지도에는 '조선해'라고 표기하고 있는데, '동
 해'를 찾자는 것인가? 
 
 3) 이북에서는 바다명칭을 '조선동해','조선서해', '조선남해'라고 부르고 
 있다. 남북통일시대를 준비하는 의미에서도 '동해'보다는 역사적인 명칭을 
 함께 고려한 '조선해'가 적절한 용어이다.
 
  
 
  왜 영문명이 Korea가 아니고 Corea 이여야 하는가?
 
  
 
 1895년 7월 15일자 뉴욕 헤럴드지 : '조선(Corea)의 여왕'이란 설명과 함
 께 고종,명성황후 초상화 소개 
 
 1895년, 호주학술진흥학회가 발간한 COREA라는 소책자 : 조선의 풍습 등 소
 개 
 
  
 
 1) 위의 예에서 보듯 1800년대말 무렵에도 영문명은 COREA였다. 
 
 2) Corea가 Korea로 바뀌게 된 이유에 대하여, 일본이 대한제국의 외교권
 을 박탈한 시기에 그때까지 Corea였던 대한제국의 이름을 Korea로 바꿔서 
 alphabet 글자 순서로 봐서 J로 시작되는 자기네 국명보다 앞에 대한제국
 이 오는 일이 없게 했다는 설명이 신빙성있게 제기되고 있다 (자료확인
 중). 원래의 영문표기 국호를 되찾아야 한다. 
 
 3) 이태리, 프랑스 등 라틴계 나라에서 한국을 Corea, 그리고 Coree라고 C
 자를 갖고 시작한 것은 지금도 사실이고 그 당시 해양의 강대국인 mexico
 는 물론, 지금의 미국남부에서 서북까지 독식했던 스페인도 우리를 Corea라
 고 불렀는 데, 무역어로 아직 영향력이 큰 것이 스페인 말이 Corea이고 보
 니 무척 많은 나라에 Corea라고 알려져 있었을 것도 사실이다. 
 
 4) 국제관계에서, 그리고 아시아권에서 많은 것에 관여한 영국은 영국대사
 관 건물의 초석의 글귀에 'Corea'를 새긴(1890.7.19) 예에서 보듯 영문표기
 를 Corea로 사용하고 있었다. 
 
  
 
 ○ 李信範 委員 
 
 또 한 일공동개최와 직접 관련된 문제이기도 합니다마는 우리나라와 일본
 이 나란히 國號를 표기하는 일이 잦아지기 때문에 하나의 제안을 드리려고 
 합니다. 이 제안에 대해서는 답변하셔도 좋고 안하셔도 좋은데 
 
 우리나라 영문국호가 로마문자로서는 다른 나라에서 다 C로 시작되는 국호
 를 쓰는데 오직 영어나 독일어에서만 K로 시작되는 KOREA를 사용하고 있습
 니다.
 
 본위원이 조사한 바로는 1910년 日本의 韓國 强占 이전에는 C로 시작되는 
 코리아와 K로 시작되는 코리아가 혼용되다가 1910년 일본의 한국강점이후
 에 K로 통일된 경향을 보인 것으로 판단을 했습니다. 이런 문제에 대해서 
 영문국호문제를 우리 국력도 신장되고 국제사회에서의 위상도 바뀌었기 때
 문에 C로 사용하는 문제를 한 번 연구 검토해 보실 필요가 있지 않은지, 이
 런 문제를 가지고 북한과도 영문국호문제에 대해서 실무자회담 같은 것을 
 제안해 볼 필요가 있지 않은지 그래서 제안을 드립니다.
 
 ○ 外務部次官 李祺周 
 
 두번째 KOREA라는 영문호칭 이것은 대단히 좋은 질의라고 저도 생각을 하
 고 있습니다. 저 자신도 國際會議에 많이 나갑니다마는 언제든지 日本 뒤
 에 앉아 있습니다. 그래서 COREA 'C'가 되면 일본 앞쪽에 앉게 되고 그렇
 기 때문에 혹시 옛날 명칭을 되찾을 수 없을까 하는 이런 것도 생각해 보았
 습니다. 그러나 지금과 마찬가지로 'K'로 시작되는 KOREA 이것은 오랫동안 
 국제사회에 정착이 되다시피 하고 있습니다. 그럼에도 불구하고 앞으로 이
 런 문제에 대해서는 우리가 검토해볼 필요는 있지 않느냐 저는 이렇게 생각
 을 하고 있고 앞으로 이것은 하나의 과제가 될 것이 아닌가 이렇게 말씀을 
 드리겠습니다.
 
 (1996년 7월 23일, 국회통일외무위원회 회의록 중에서) 
 
  
 
 참고  
 
  - 독도박물관 제1회 학술발표회 자료집, 2000.5.31, 독도박물관
 
 - 중앙일보 1998년 10월 19일 17면, 명성황후 새 초상화 발견 
 
 - 조선일보 1996년 11월 6일 27면, 조선」(「한국관계 고서찾기」 희귀본 
 소개:26)
 
 - 서울대 안수길 교수의 기고글 
 
 - 1996년 7월 23일, 국회통일외무위원회 회의록, 국회도서관
 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