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 FreeBoard | 
				홈 > Community > FreeBoard | 
			 
			
				 | 
			 
			 
			
			
			
			 
			
			
	
	
	
	
	
	
	
	
	
	
	
         | 
     
    
         | 
     
    
         | 
     
	
	| 
	    
	    
	    
	    
	    
	     | 
 
	
	
	
    
          | 
     
	
		
		 | 
	 
		
		마음이 편안하면 초가집도 아늑하고 성품이 안정되면 나물국도 향기롭다.
 
 心安茅屋穩(심안모옥온)이요 性定菜羹香(성정채갱향)이니라.
 
 J. 러스킨은 이 우주가 즐겁고 화락한 곳인가, 혹은 슬프고 소란한 곳인가 
 그것은 논의하지 말라고 했다. 내 마음에 따라 이 우주는 즐거운 보금자리
 도 될 수 있고, 슬픔과 괴로움에 가득 찬 구렁텅이도 될 수 있으며 우리는 
 마음에 따라 이 두 가지 중의 하나를 선택할 자유가 있을 뿐이란 것이다.
 
 마음은 쓰면 쓸수록 골짜기로 파고드는 버릇이 있다. 아주 작은 일에도 마
 음을 쓰기 시작하면 그것은 끝간 데 없이 치닫기 일쑤다.
 
 마음은 눈에 보이지 않는 것도 느끼기 때문이다. 손으로 만져지지 않아도 
 느끼며, 귀에 들리지 않아도 느낀다. 막힌 데가 없는가 하면 때로는 숨돌
 릴 틈도 없이 꽉 막혀 있기도 한다. 그래서 마음이 앞서면 발도 가볍지만 
 마음이 뒤뚱거리기 시작하면 모든 것이 혼란을 맞는다.
 
 복경호우(福輕乎羽)라는 말이 있다. 복(福)이란 새털보다도 가볍다는 뜻으
 로 자신의 마음에 따라 행복하게 된다는 말이다. 「장자(莊子)」의 '인간세
 편(人間世篇)'에 나온다.
 
 참으로 마음이 편안하면 어떻게 초가집만이 아늑할 것이며 나물국만이 향기
 로울 것인가? 흐르는 물도 아늑할 것이며 구르는 돌에서도 향기가 날수 있
 다. 바라볼 수 있는 모든 죽음도 아늑할 수 있고 만나는 모든 사람에게서 
 향기를 맡을 수도 있다.
 
 그러나 다시 생각해 보자. 마냥 편안하기만 한 마음이란 어쩌면 정지된 마
 음일 수 있을 것이다. 그것은 호수처럼 잔잔히 고여 있는 물일 것이며 바
 람 한점 없는 망망 대해, 그것일 수도 있다.
 
 그것은 마음의 평화가 아니다. 마냥 아늑하기만 한 것은 죽어 있는 것과 다
 름없다.
 마음이란 편안한 가운데서 항상 흐르고 있어야 한다. 쉴새 없이 흐르고 쉴
 새없이 나아가야 한다. 그 흐르는 마음 한 가운데에 그대를 실으라. 그리
 고 항해하라. 끊임없이.
 
 라즈니쉬가 말했다.
 "이성(理性)은 바깥쪽으로 움직이고 타인에게로 열린다. 마음은 안쪽으로 
 움직이고 자신에게로 열린다."
 
 - 에세이 명심보감에서 - | 
	 
	
    
          | 
     
		
		| 2002년 12월 08일 (10:13)   | 
	 
    
         | 
     
    
         | 
     
    
         | 
     
	 
	
	
	
	
	
	 
	
	
	
	
	
	
	
	
	
	 
	
	
	
	
	 | 
 
 
			 
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
			
			
			 | 
			 | 
			
			
			
			 
			
			
			
            
            
			
			
			
			
		
				
				
              
          
          
			
			
			
			
			 |